본문 바로가기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서평 잘 쓰는 법!

by 희야네짜잔이 2024. 7. 1.
반응형
반응형

1. 서평이란?

대학교 과제로 갑자기 찾아온 서평!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하죠?
서평이란 말 그대로 책을 읽고 평가한 글입니다. 
그러니 서평에는 독자의 의견이나 평가가 들어가 있어야 해요!


2. 서평을 왜 써야 하나요?

누군가에게 책의 내용과 특징을 소개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서평에는 책의 저자에 대한 간략한 소개, 책의 장르나 주요 내용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책을 읽고 서평을 쓸 때에는 책에 대한 장, 단점이나 저자의 주장에 대해 동의여부, 책의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 등을 첨가하면 좋습니다. 따라서 서평에는 이 책을 어떤 사람에게 추천하는지에 대한 견해를 기록하는 것 역시 좋습니다. 


3. 서평을 잘 쓰기 위해서는?

1) 서평은 말 그대로 책을 읽은 뒤 평가하는 것이기에 책의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의 저자가 어떤 사람이기에 어떤 사상을 가지고 있는지, 이 책을 통해 어떤 주제를 말 하고 싶은지 등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책의 내용을 파악했다면 책의 내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짧은 문장이나 문단으로 책을 요약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평의 독자들이 책의 중심 주제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책을 읽고 난 뒤, 자신의 태도를 비평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저자의 주장에 대한 동의 여부, 책의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 등을 논리적으로 펼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개인적인 감정 보다는 구체적인 논리와 근거가 동반되어야 합니다.
4) 독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책이 어떤 연령대, 어떤 대상에게 도움이 되는지 등을 기입하면 좋습니다. 
5) 서평은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로 이루어지면 좋습니다. 각 단락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선명하게 드러나면 좋습니다.
6) 서평의 길이는 너무 길지 않아야 합니다. 간략하게 읽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종종 a4용지로 두 페이지 정도가 좋습니다(1000자 내외).

4. 서평의 양식(구조)는?

서평의 구조는 보편적으로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서 밝혔듯 독자를 고려하여 작성하면 좋습니다. 
1) 서론: 책에 대한 정보 제공(저자나 장르, 책의 핵심 주제와 간략한 내용 전달 등).
2) 본론: 책의 주요내용 요약, 책의 특징, 장단점, 저자의 주장에 대한 동의 여부 등
3) 결론: 책의 전반적인 내용 요약, 독자층 제안, 추천 여부

 

 

반응형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의 8원칙」오두환 지음  (2) 2023.0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