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모음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10 너한테? 아니! 행동에 실망이야!

by 희야네짜잔이 2023. 2. 2.
반응형

좋은 부모되기 10탄 실망이야......

 

너한테 실망했어!


부모님을 실망시키고자 하는 의지로 가득 찬 아이가 있을까요?
부모님을 실망하게 했다는 상실과 좌절감은 아이가 엄마 아빠의 사랑을 잃어버렸다는 오해를 품게 만들어요.

아이가 부모의 마음이나 생각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혹은 부모의 기대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반응이나 결과를 만들어 냈을 때, 

의도와는 무관하게 엄마 아빠의 눈빛이 흔들릴 때가 있죠.

 

 “실망”이라는 감정에서 드러나는 민감한 반응인데요, 

아이들은 기가 막히게 엄마 아빠의 눈빛에서 아주 잠깐 스쳐 지나가는 이 “실망”이라는 감정을 

기가 막히게 읽어 내곤 합니다. 

특히나 엄마 아빠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을 때 나타난 실망이라는 찰나의 반응에는 더욱더 기가 막히게 반응하죠. 

아이 스스로가 생각할 때 자신이 엄마 아빠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음을 알아차렸기 때문에 나타난 반응이에요. 

실망이라는 감정과 동시에 따라오는 것은 부모의 질타인데요,

분명 아이의 잘못된 행동은 꾸짖어야 하지만, 아이의 존재를 꾸짖거나 나무라면 안 됩니다. 

엄마 아빠의 실망과 함께 찾아온 분노에 대해 분명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엄마 아빠가 무엇 때문에 지금 기분이 상해있는지에 대해 확실한 이유를 알려주어야 한다는 말이죠. 

예를 들어 공부하지 않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서든지, 친구와 다투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서든지 

엄마 아빠의 분노와 실망이 생겨 난 이유에 대해 분명히 특정한 원인과 문제를 한정해서 정해주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아이는 엄마 아빠가 자신을 향한 사랑을 중단하거나 자신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제재를 가하는 것임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야 아이는 행동의 잘못됨을 인지함과 동시에 자존감을 잃지 않을 수 있는 거죠.

부모가 볼 때 아이가 때로는 답답하고 속이 터지는 행동을 할 때가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이를 사랑하시죠? 

아이가 엄마 아빠의 말을 듣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을 철회하지는 않으시잖아요? 

그러니까 부모죠. 

 

아이의 행동에 속이 탄다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향한 사랑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려주세요.

엄마 아빠의 인내와 분명한 가르침을 통해 아이는 조금씩 “인생 공부”를 하게 될 거예요.

간단하고 잘 알려진 방법이지만, 아이의 행동에 대해 지적을 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방법을 바꾸어야 해요!

 

 

 

 

“너한테 실망했어!”

 

라는 말 대신에

 

“네가 친구와 다툼을 한 것 때문에 엄마가 정말 매우 슬펐어. 엄마는 00이가 다툼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멋진 친구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어. 그러니까 왜 00이가 그런 행동을 했는지 한번 생각해보자.”

 


그러면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상실했다는 두려움에 빠지기보다는 

건설적인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게 될 거예요.

 

 

[나도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 - 육아 꿀팁 - 9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육아 꿀팁 - 9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00아 엄마가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엄마, 아빠 많이 힘드시죠? 육아라는 것이 정말 쉽지 않아요. 자꾸만 한숨이 나오고, 때로는 너무 힘이 들어 눈물이 쏟아질 때도 있죠. 그런데 엄마 아빠의 힘

heeheestory.tistory.com

 

 

[나도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 - 육아 꿀팁 - 8 말 좀 해봐!! 도대체 왜 그래?

 

육아 꿀팁 - 8 말 좀 해봐!! 도대체 왜 그래?

“말을 해야 알지 어떻게 알아!” 아이가 이유 없이 슬픔에 빠져 있을 때, 속상한 마음에 혼자 울먹이고 있을 때, 엄마 아빠는 답답함에 빠지게 되죠. 그래서 제발! 말 좀 해! 라며 괜히 아이를 다

heeheestory.tistory.com

 

 

훈육 4대 법칙
행동: 아이 no, 행동 yes
감정: 아이의 행동으로 인해 느낀 감정 설명
해결: 아이와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도출해보세요.
이해: 아이가 혼나는 이유를 이해했는지 확인을 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