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아9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10 너한테? 아니! 행동에 실망이야! 너한테 실망했어! 부모님을 실망시키고자 하는 의지로 가득 찬 아이가 있을까요? 부모님을 실망하게 했다는 상실과 좌절감은 아이가 엄마 아빠의 사랑을 잃어버렸다는 오해를 품게 만들어요. 아이가 부모의 마음이나 생각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혹은 부모의 기대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반응이나 결과를 만들어 냈을 때, 의도와는 무관하게 엄마 아빠의 눈빛이 흔들릴 때가 있죠. “실망”이라는 감정에서 드러나는 민감한 반응인데요, 아이들은 기가 막히게 엄마 아빠의 눈빛에서 아주 잠깐 스쳐 지나가는 이 “실망”이라는 감정을 기가 막히게 읽어 내곤 합니다. 특히나 엄마 아빠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을 때 나타난 실망이라는 찰나의 반응에는 더욱더 기가 막히게 반응하죠. 아이 스스로가 생각할 때 자신이 엄마 아빠의 기대.. 2023. 2. 2.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9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00아 엄마가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엄마, 아빠 많이 힘드시죠? 육아라는 것이 정말 쉽지 않아요. 자꾸만 한숨이 나오고, 때로는 너무 힘이 들어 눈물이 쏟아질 때도 있죠. 그런데 엄마 아빠의 힘든 마음에 대한 책임을 아이에게 지우지 마세요. 아이가 큰 혼란에 빠지며 스스로를 자책할 수 있어요. 솔직히 엄마 아빠도 누군가로부터 너 때문에 너무 힘들어! 라는 말을 들으면 마음이 많이 힘들지 않나요? 어른이든 아이든 누군가에게 감정적인 짐을 지우는 것은 절대 좋지 않아요. 보무기 때문에 아이에게 화가 나고, 지치기도 하고, 무기력해지기도 하죠. 하지만 부모의 힘든 마음을 아이에게 떠넘겨 아이가 죄책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절대 옳지 않습니다. 엄마 아빠로부터 너 때문에 힘들다는 발언을 들은 아이는 스스로가 .. 2023. 1. 27.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8 말 좀 해봐!! 도대체 왜 그래? “말을 해야 알지 어떻게 알아!” 아이가 이유 없이 슬픔에 빠져 있을 때, 속상한 마음에 혼자 울먹이고 있을 때, 엄마 아빠는 답답함에 빠지게 되죠. 그래서 제발! 말 좀 해! 라며 괜히 아이를 다그치곤 합니다. 그럴 때, 아이를 다그치며 어떻게 해서든 설명 해 줄 것을 강압적으로 요구하지 마세요. 아이의 짜증에 어떻게 해서 생긴 것인지, 부모가 단번에 눈치를 채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무슨 일인지 도무지 알 수 없어 자꾸만 아이를 다그치게 되죠. 하지만 어떻습니까? 별로 소용이 없어요. 아이는 계속해서 입을 꾹 다물고 속상함을 얼굴로 드러낼 뿐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스스로가 말로 표현하도록 돕는 것은 아주 좋은 시도입니다. 하지만 아이의 상황에 따라, 또 특성에 따라 통하지 않을 수도 있는 방.. 2023. 1. 26.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7 오늘 따라 왜 이렇게 달라 붙는 거지? 좀 떨어져! “어유 쫌! 왜이렇게 달라붙는거야 좀 떨어져!” 이상하게 아이가 오늘따라 찰싹 달라 붙는 날이 있죠? 어쩌면 지금 우리 아이가 불안을 느끼고 있는지도 몰라요. 그러니 무조건 떨어뜨리려는 것은 위험해요. 사람에게는 다섯가지의 감각이 있죠. 그 중에서 가장 먼저 발달하는 감각은 “촉감”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와 밀착된 스킨십을 통해 애착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죠. 점차 다른 감각들이 성장하겠지만, 아이들은 스킨십을 통해 이 세상에 대한 이해를 시작해요. 특히나 엄마 아빠의 찐한 포옹을 통해 애정을 느끼고 받아들이며 마음에 안정감을 얻는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마 아빠는 자주자주 아이를 쓰다듬어주고, 뽀뽀도 해주고, 안아주는 등 충분한 스킨십을 통해 애정을 표현해 주어야 해요. 아이들 중.. 2023. 1. 25.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6 남자니까 뚝! 언니니까 그만! 에이 언니가 이런 걸 가지고 울고 그러냐? 남자가 왜 울고 그래 뚝! 시대가 많이 변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남자아이나 첫째를 향해서는 매우 엄격한 감정 통제를 하는 경우가 있죠. 감정에 솔직하다면 약점이 드러난다고 생각을 하나 봐요. 검정을 표현하거나 터트리지 못하고 꾹! 참는 습관을 가진 채 어른이 된다는 것은 별로 좋은 일이 아니에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긍정적인 심리적, 감정적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일이에요. 따라서 감정을 잘 표현하는 방법은 어릴 때부터 잘 습득해야 해요. 세대가 거슬러 올라갈수록 더욱 더 심한 감정의 억제를 당하며 살아오셨을 거예요. 감정이 받아들여지기 보다는 통제당하며 자랐고, 감정을 표현할 곳이 없는, 감정을 받아들여주는 사람이 없는 환경에서 자라셨을 부모님들이 많을 것 같.. 2023. 1. 24.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5탄 엄마 괜찮아, 슬픈 거 아냐! “어른이어서 괜찮아. 엄마는 슬픈 거 아니야.” 아이들이 모를 것 같죠? 사실은 다 알고 있어요!! 하지만 아이들은 다 알아요. 엄마 아빠가 지금 슬픈지, 기쁜지 말이죠. 그리고 엄마 아빠가 거짓말 하는지, 하지 않는지 모두 다 알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엄마 아빠가 느끼는 현재의 감정과 다르게 거짓말로 애써 아이에게 감정을 숨긴다면 아이는 혼란에 빠져요. 아이 자신이 느낀 감정과 그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과는 다른 엄마 아빠의 반응 때문에 혼란에 빠지게 되는 거죠. 아이는 자신이 인지하고 파악하는 정보와 사실과는 다른 엄마 아빠의 반응을 보고 엄마 아빠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 사실을 기가 막히게 인지합니다. 대부분의 아이는 타인의 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배려하는 대에 익숙하지 못해요. 자기중심적이죠. 그.. 2023. 1. 24.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3탄 충분한 설명과 배려 됐어! 하지마!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 중 하나가 “왜?”입니다. 저번에도 말 한 것 같은데, 또 다시 “왜?” 라고 물어오곤 합니다. 아이의 끊임없는 질문이 엄마 아빠의 신경을 슬슬 긁어요. 아이가 끊임없는 질문을 할 때 부모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있어요. “하지마!” 라는 반응 이에요. 아무런 설명 없이 엄마 아빠의 편의를 위해 “하지마!” 라고 하는 것은 절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반응입니다. 조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엄마 아빠가 무심결에 내 뱉는 말이죠. 반드시 조심해야 합니다. 아이는 항상 질문을 합니다. 끊이지 않는 지적 호기심에 의한 것이든,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이든 말이죠. 꼭 명심하세요. 아이들의 질문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그렇게 당연한 질문이 주어졌을 때,.. 2023. 1. 21.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2탄 존중과 자존감 “넌 어려서 잘 몰라! 어른들 이야기하는데 끼어들지 마!” 모처럼 아이가 혼자 잘 놀고 있는 것 같아, 엄마와 아빠가 가정의 일을 놓고 진지한 이야기를 할 때면 무엇이 그렇게 재미나게 보이는지, 꼭 끼어드는 아이들이 있죠. 부모의 대화가 심각하면 심각할수록, “넌 아직 아무것도 모르지? 그러니 끼어들지 말고 가서 놀아!”라고 반응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어른들끼리 이야기를 하는 타이밍이니 애들은 가라!” 이런 반응이죠. 그런데 아이가 자기 생각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시도나 아이가 스스로 생성해 낸 아이디어 등을 과감하게 제지하는 부모의 억압은 물론 의도한 바가 아니겠지만, 아이의 자존감을 무너뜨릴 수 있는 아주 위험한 반응이에요. 이제 막 사고가 감정과 사고가 발달하는 단계에 있는 아이를 .. 2023. 1. 20.
안보면 후회하는 육아에 관련된 10가지 성공과정 - 1탄 이해&공감 좋은 부모가 되는 방법 제 1탄 “왜 울어? 울지마! 혼난다?” 우는 아이에게 이렇게 무서운 반응을 보인 적이 있나요? 아이가 울음을 터트렸을 때 엄마 아빠의 편의를 위해 아이에게 위협을 가하며 아이를 협박하는 것은 절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아이와 함께 지내다 보면 여러 가지 난감한 상황에 직면할 때가 많이 있죠. 특히나 ‘도대체 지금 왜 우는 걸까?’ 라는 생각이 참 많이 들죠. 그런데 그거 아시나요? 아이들이 갑자기 우는 대에는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사실을요! 특히나 아직 말을 배우지 못한 많이 어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방법이 울음밖에 없습니다. 갑자기 무서운 느낌이 들었을 때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속상한 일이 생기거나 무엇인가 도움이 필요할 때 등등 말을 할 수 없는 아이.. 2023. 1. 19.
반응형